강아지 이갈이 증상은 잇질, 잇몸 변화 등 다양한 신호로 나타납니다 시기별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올바른 대처로 반려견의 건강한 성장을 도와주세요.
강아지를 키우는 보호자라면, 어느 순간부터 강아지가 갑자기 손을 물고 가구를 물어뜯는 행동에 당황을 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장난이나 반항이 아니라 바로 이갈이(치아 교체기)의 주요 증상일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갈이의 대표적인 증상과 시기별 변화, 그리고 보호자가 해줄 수 있는 관리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강아지 이갈이 시기 요약
강아지의 이갈이는 보통 생후 3~6개월 사이에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성장단계입니다. 이 시기에는 유치(젖니)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라며, 총 28개의 유치가 42개의 영구치로 교체됩니다. 이 과정은 사람의 유치가 빠지는 현상과 비슷합니다. 자연스럽지만 불편함을 동반하기 때문에 강아지는 다양한 행동으로 이를 표현하게 됩니다.
시기 | 증상요약 |
생후 2~3개월 | 유치 완성, 입질 시작 |
생후 3~4개월 | 유치 탈락 시작, 간지러움 증가 |
생후 4~6개월 | 영구치 자람, 잇몸 붓기, 침 분비 증가 |
생후 6개월 이후 | 영구치 완성, 입질 감소 및 행동 안정화 |
강아지 이갈이 주요 증상
✅ 입질 행동 증가
손, 발, 가구, 장난감 등을 물기 시작합니다. 이는 잇몸이 간지럽거나 불편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.
✅ 유치 빠짐
바닥이나 침구에서 작고 하얀 유치를 발견하거나, 무는 중에 자연스럽게 빠지기도 하며 강아지가 삼키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가 놓치기 쉽지만 유치가 빠진 자국(핏자국)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삼킨 유치는 배변으로 배출됩니다.
✅ 잇몸 붓기 및 출혈
붉고 부은 잇몸, 장난감이나 손에 묻어나는 소량의 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심하지 않다면 정상입니다.
✅ 침 분비 증가
입가에 침이 자주 묻거나, 장난감, 바닥이 축축해질 정도로 침을 흘릴 수 있습니다. 잇몸의 자극으로 인해 침샘활동이 활발해져서 나타나는 증상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✅ 식욕 변화
딱딱한 사료나 간식을 꺼려하고 부드러운 음식만 먹으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런 경우 사료를 불리거나 부드러운 간식으로 대체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.
✅ 과민 반응
잇몸의 불편함 때문에 짖음이 늘고, 평소보다 예민한 행동(예: 얼굴 만짐 거부)이 생길 수 있습니다.
✅ 입 냄새
잇몸 변화와 세균 증가로 인해 평소보다 강한 구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양치질이나 구강관리로 관리해 주시면 완화될 수 있습니다.
이갈이 훈련법
✅씹기 좋은 장난감 제공
고무, 실리콘, 냉동 장난감 등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는 장난감을 제공해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.
✅손을 물었을 때 반응 멈추기
강아지가 손이나 사람을 물었을 때는 즉시 “아야!”라고 소리 내고, 놀이를 중단하여 행동과 결과를 연결시켜 주세요. "무는 행동=놀이가 종료!"라는 인과관계 학습을 합니다.
✅긍정강화 훈련
장난감을 물었을 때 간식 보상을 주면 “올바른 행동 = 좋은 결과”로 학습하게 됩니다.
✅일관된 훈련방식 유지
가족 구성원이 많을 경우 모든 가족이 동일한 반응과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. 한 사람이라도 예외를 두면 강아지가 혼란스러워 할 수 있습니다.
✅충분한 놀이시간 확보
강아지가 지루해할 경우 문제행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산책, 터그놀이, 냄새 맡기 등의 활동을 통해 에너지를 소진시켜 물기 행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.
보호자가 해야 할 관리 팁
✅씹을 수 있는 안전한 장난감 제공
고무 장난감, 냉동용 장난감, 실로콘 씹기 제품 활용
✅이갈이용 간식 제공
소힘줄, 오리목뼈, 말린 고구마 등 천연간식이 좋습니다. 다만, 반려견의 발달시기나 체질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급여 전 수의사와 상담을 하시기 바랍니다.
✅구강 위생 관리 시작
이갈이 시기에 양치 훈련을 시작하면 성견이 되어서도 양치질에 대한 거부감을 덜 수 있습니다.
✅문제 행동 방지 교육 병행
가구, 손 등을 무는 습관은 이 시기 훈련으로 충분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강아지의 이갈이는 건강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. 하지만 이 시기를 방치하면 입질 습관, 공격성, 구강 질환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보호자는 시기별 특징과 증상을 잘 이해하고, 적절한 훈련과 관리를 통해 강아지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.
지금 바로 강아지의 이갈이 시기를 체크하고, 올바른 훈련을 시작해 보세요
'반려견 행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아지 하품의 의미 6가지,댕댕이와 소통하기 (0) | 2025.04.21 |
---|---|
강아지 잦은 짖음 이유와 해결법 (0) | 2025.04.17 |
반려견 꼬리 움직임 의미 (1) | 2024.05.17 |
강아지가 사람을 핥는 이유와 대처법 (0) | 2023.11.07 |
반려견이 밥을 안먹을때, 이유과 해결 방법 (1) | 2023.07.13 |
댓글